Design Message

너와 나, 우리의 꿈 : 카페사장…?

너와 나, 우리의 꿈 : 카페사장…?

올해 여름, 합숙 연수 중에 있었던 강사 분의 말이다.“여보세요, 젊은 사람들 꿈이 카페가 뭐야 카페가. 우리나라에 카페 충분히 많아. 꿈 좀 크게 가지자!”속으로 분개했다. 감히 소중한 내 꿈을 모욕하다니. 모든 사람이 큰 꿈을 가져야 하는 의무가 있는 것도 아닌데, 저렇게 폄하하다니. 옆 사람에게 나의 불만을 얘기하려는 순간, 주변의 많은 사람들의 불만 어린 수군거림이 들려왔다. 나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사람들이 비슷한 꿈을 꾸고 있다는 사실에 웃기면서도 가슴 한켠이…

Read More
유기적 디자인관점

유기적 디자인관점

The architect who designed the Seoul Branch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 Korea thought of two principles. The first principle was that “The building we build cannot be superior to the Gyeongbokgung Palace” and that the buildings around the…

Read More
HCI의 역사와 야사

HCI의 역사와 야사

Software engineers resisted the advance of Human Factors Engineering into the software field because it meant an interruption of their role as user interface constructors and professional change to software coders that lie on given specifications of user interface….

Read More
2014년의 雜想

2014년의 雜想

The problem of our time in these days is that we are living in a virtual reality that is inconsistent with the reality. ‘Design’ that follows the logic of capitalism driven by major companies creates virtual lifestyles and spreads the sense of vanity those lifestyles…

Read More

2001년과 2014년

In the ‘Where is Industrial Design heading?’ section, industrial design profession is called for a self-assessment of its legitimacy of existence. It is a request for a reappraisal of designers’ traditional working practice, which was to technically perform the duty…

Read More
퍼스펙티브

퍼스펙티브

우물에 빠진 공을 가장 확실하게 꺼낼 수 있는 방법은 뭘까? 답은 우물에 물을 가득 채워 넣는 것이다. 가장 확실하지만 쉬워보이진 않는다. 그렇다면, 우물에 빠진 게 공이 아니라 나 자신이라면, 빠져 나가기 위해 하늘보고 물이 찰 때까지 기우제라도 지내야 하나. 내가 빠진 우물을 맨손으로 가득 채워 넘치도록 만드는 일. 물리법칙을 가볍게 무시하는 이 비유에서 한 가지 불행이자 다행인 것은, 세상살이가 단순히 우물 같지는 않다는 점이다. 유년기를 거쳐 고등학교를 졸업하기…

Read More
그대들은 지금, 가장 아련한 순간을 살고 있다.

그대들은 지금, 가장 아련한 순간을 살고 있다.

2003년 11월 셋째 주쯤 됐을까. 적당히 날씨가 시큰시큰해져갈 무렵 나는 우리학교 교정을 처음 밟았다. 수시모집 면접시험을 보기 위해서였는데 나는 아직도 그때를 생생히 기억하고 있다. 면접시험 예정시간보다 한참을 일찍 도착한 새벽녘이라 공기는 푸르스름했고 미래동산을 잽싸게 넘어 다니던 청솔모가 바닥에 떨어진 나뭇잎을 조심성 없이 바스르며 바쁘게 뛰어다니는 소리가 들릴 정도로 고요했다. 지금 내가 밟고 섰는 이 학교가 나의 학교가 될지는 전혀 예측할 수 없었고, 그저…

Read More
코즈마케팅과 디자이너의 역할

코즈마케팅과 디자이너의 역할

제품을 디자인 할 때 고려해야 할 기본적인 요소가 기능과 형태이다. 기능과 형태는 사용자에 대한 분석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사용자는 아니지만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 소비자이다. 소비자는 구매를 결정하는 사람으로 디자이너는 제품을 디자인 할 때 소비자의 성향, 의식수준, 관심사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현재 소비자들의 의식수준과 관심사를 잘 보여주고 있는 키워드는 ‘착한 소비’라고 생각한다. 착한 소비는 ‘윤리적 소비(Ethical…

Read More
우리나라의 장인과 전통공예기술

우리나라의 장인과 전통공예기술

우리나라의 ‘장인’ 초고속, LTE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한땀, 한땀 바늘을 놓아 1년에 거쳐 활옷[ref]조선왕조 때 공주 ·옹주의 대례복으로 입던 소매가 넓은 옷.[/ref]을 만들거나, 문고리의 금속에서부터 몸체의 나무까지 손수 공수해온 재료를 몇날 며칠 동안 다듬고, 깎아 반닫이[ref]전면(前面) 상반부를 상하로 열고 닫는 문판(門板: 잦혀 열게 된 문짝의 널)을 가진 장방형의 단층의류 궤[/ref] 하나를 만들어 내는 일은 조금은 낯선 느낌일 것이다….

Read More
경험 경제

경험 경제

가치 경쟁 시대 지금 우리는 어느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가?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무엇에 의미를 두는가? 그 의미있는 것들에 얼마만큼의 비용을 지불하는가? 기업은 소비자의 지갑을 열기 위해 어떤 상품을 개발하고 판매하는가? 지금 우리는 물 한 병을 마시기 위해 비용을 지불한다. 그것도 500원에서 10000원까지. 무엇이 이런 차이를 주는가? 최근 기업의 경쟁 패턴은 가격, 품질 중심에서 가치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다. 글로벌 우량 기업들은 기업 경영의 필수 조건으로 고객을…

Read More
공간의 재생은 삶의 재생

공간의 재생은 삶의 재생

2013년 한국실내건축가협회(KOSID)에서 주관하는 실내건축대전에서 올해의 대상은 기존의 폐공장을 복합 문화시설로 리노베이션 한 학생의 작품이 선정되었다. 위치는 폐공장들이 모여있는 서울의 성수동지역으로 아직 활발하지는 않지만 조금씩 폐공장들에 관심을 보이며 패션쇼 등의 움직임이 감지되기 시작한 지역이다. 근처에 매끈하게 신축된 서울 숲 공원 주변지역과 묘한 대조를 이루는 개발이 안 된 곳으로 미래에 서울에서 도시재생 프로젝트를 과거의 모습을 보존하면서 흥미롭게 리노베이션…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