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배웠던 디자인방법론

Nov 25, 2017 | ID Lecture, Know-理知

원지희 Won, Jeehee

원지희 Won, Jeehee

디자인예술학부 산업디자인학

Design Methodology I Learned

Design Methodology class also came along with a lot of theory lectures and the lecturer used to tell us interesting stories. The most interesting story to me was that ‘designers should be able to speak nonsense.’ From my limited experience of designing, I have had the feeling of giving up because I did not believe in the realizable possibility of my design. In this project however, I had my team to share ideas with and did a lot of research from which I got a lot of inspiration for realizing the ideas. What’s wrong with being unsuccessful? This was the main idea that I always had in mind during the project. If I fail with an idea, I could always come up with another one and work on that to make it happen.


요즘의 디자인은 외관의 형태나 미를 제작하는 활동에서 벗어나 좀 더 광범위하고 통합적인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그래서 디자이너들은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고 그러한 문제들을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보고 발전시키는 능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나는 현재의 디자인 영역에서 문제 또는 디자인 결과물에 폭넓은 관점에서 논리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디자인방법론에 매력을 느꼈고 수업을 듣기 전부터 기대하게 되었다. 수업은 3개의 주제 중에 각자 원하는 주제를 선택해 3개의 팀을 이뤄 주제에 맞는 결과물을 내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여기에서 3개의 주제는 ‘이케아 기존 라인업 추가(제품 개선)’, ‘편의점 바꾸기(서비스 개선)’, ‘새로운 개념의 병원 만들기(서비스 혁신)’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 중 나는 내가 선택했던 주제인 ‘이케아 기존 라인업 추가(제품 개선)’을 했던 우리 팀의 활동에 대해서 자세히 말해보고자 한다.

먼저 첫번째 단계로 우리 팀은 팀원들끼리 각자 이케아에 대해 알고 있는 모든 사실들을 모두 메모지에 쓴 뒤 그러한 사실들을 위계화시켰다. 이러한 위계화를 통해 이케아의 우선순위 등을 살펴보고 우리가 알고 싶은, 알아야 할 기본적인 연구문제들을 정해보았다. 그 후 이케아와 비교할 만한 경쟁 가구업체들을 네이버의 인기 검색어 순위를 참고해 경쟁 가구업체 분석과 현재 국내 가구 시장의 동향을 조사하였다. 여기서 처음으로 우리 팀이 어려웠던 점은 라인업의 정의에 대해 정확하게 알지 못했다는 것이다. 경쟁 업체들의 라인업도 조사해보았지만 모두 다 다른 라인업의 기준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어떤 것이 라인업의 기준일까 팀원끼리 고민해본 결과 우리 팀은 모든 가구업체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기준인 가구의 종류 자체가 라인업이라고 정의하였다. 라인업의 정의를 결정한 뒤에는 추가적으로 연구 문제를 도출하고 그러한 연구 문제들을 어떠한 방식으로 조사할 것인지 결정하였다.
우리 팀이 사용한 연구 방법은 크게 문헌 조사, 설문 조사, 인터뷰, 관찰로 나눌 수 있는데 이렇게 연구 방법까지 결정된 연구 문제들은 간트차트를 작성하여 계획에 따라 진행하였다.

앞서 한 경쟁사와의 분석에서 우리는 이케아에서 가장 잘 팔리는 제품군 4가지(책장, 거실 테이블, 서랍장, 철제 선반)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후 브랜드들의 포지션을 설정해 포지셔닝 맵을 작성한 결과 한샘이 이케아와 가장 비슷하게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두 브랜드를 상세히 비교・분석하였다. 한샘과 이케아의 SWOT 분석이나 고객의 접점, 경험 등을 비교・분석 해보았을 때 이케아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나 이케아만의 중요한 가치, 장점 등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이케만의 특징은 캐시앤캐리방식, 플랫팩 시스템, 셀프 조립가구, 저렴한 가격 등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 팀은 문헌 조사에서 이케아에서 가장 잘 팔리는 제품이 수납가구라는 점, 설문조사에서 이케아에 많은 고객들이 수납가구를 구매하러 온다는 점, 그리고 면접에서 선반 사용에 불편함을 느낀다는 점 등을 통해서 경쟁사 비교・분석을 진행한 제품군 중 철제 선반을 우리가 새롭게 디자인할 제품군으로 선택하였다. 이케아에서 가장 잘 팔리는 철제 선반을 조사해보니 레르베리라는 조립식 철제 선반이었기 때문에 우리는 레르베리를 대상제품으로 선정하였다. 레르베리를 대상 제품으로 선정한 후에도 우리는 이케아 내의 철제 선반과의 비교・분석도 해보았고 다른 철제 선반에 비해 레르베리가 잘 팔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레르베리만이 갖고 있는 특징이 무엇일까, 사용자들이 레르베리를 사용하면서 불편한 점은 없을까 등 레르베리에 대한 모든 것을 조사했다. 우리 팀의 연구 문제 범위는 크게 이케아 분석, 대상 제품 이해, 타깃 설정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케아의 분석에서 이케아는 가격이 저렴하고 어디에나 어울리는 디자인 때문에 1인 가구가 주로 고객층이었는데 이 레르베리는 1인 가구가 혼자서 조립하기에는 너무나도 힘든 조립 방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우리 팀은 ‘1인 가구가 조립하기 쉽고 어떤 장소에도 쉽게 놓을 수 있는 조립식 선반을 만들면 어떨까?’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수많은 조사 자료들을 통해 우리는 니즈, 기술, 여건, 차이로 표를 작성하고 4가지 특징들을 융합하여 우리 팀만의 요구 목록을 작성하게 되었다. 우리 팀이 새로운 조립식 선반을 디자인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시 여겼던 요구 목록 3가지는 쉬운 조립 방식, 어느 공간에나 놓을 수 있는 형태, 이케만의 시스템을 해치지 않을 것이다. 먼저, 우리 팀은 조립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서 이케아가 가지고 있는 조립 방식 기술들을 모두 조사해보았는데, 이케아 또한 소비자가 더욱더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쐐기형 방식이나, 끼움촉 방식 같은 공구가 아예 필요하지 않은 조립 방식들을 발전시키는 중이었다. 우리 팀 또한 1인 가구는 공구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많이 없으니 아예 혼자서도 조립하기 쉽게 공구가 필요 없는 조립 방식을 만들자는 의견으로 모아졌다. 그렇게 우리 팀은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공구가 필요 없는 스크류 방식의 조립 방식을 고안하게 되었다. 그리고 어는 공간에나 놓을 수 있게 사용자의 거주지나 사용 공간에 맞게 폭과 높이, 선반 간의 높이까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고 이케아만의 스칸디나비아식 디자인도 놓치지 않은 다양성이라는 뜻을 가진 ‘MANGFALD’라는 제품을 디자인하게 되었다.

우리 팀은 그저 디자인하는 것에 멈추는 것이 아니라 이케아에 바로 적용될 수 있도록 카탈로그 페이지, 매장에서 판매되면 어떠한 모습일지와 이케아만의 판매 베너, 조립 설명서 그리고 플팻팩패키지로 판매되면 어떠한 배치로 판매되고 얼마에 판매될 것인지 등 상세 사항까지 디자인하고 결정하였다.
실제로 ‘MANGFALD’를 실제 이케아 판매 사이트에 똑같이 합성시킨 후 기존 이케아 제품들과 함께 어떤 제품을 사고 싶은지 설문조사 결과 ‘MANGFALD’가 가장 많은 표를 받았다. 그래서 이러한 최종 결과물들을 모두 영어로 번역한 후 이케아 핀란드 본사에 메일로 보내보았는데 이케아 담당 제품 개발자가 매우 흥미롭게 봐줘서 화상회의를 통해 보완 질문을 하고 프로젝트를 더 진행할 의향이 있다고 답이 와서 현재는 회의 준비 진행 중에 있다.

이케아 매장 내 판매 모습
이케아 카탈로그 적용 모습
MANGFALD 조립 설명서
MANGFALD 플랫팩패키지 적용 모습

이번 디자인방법론 프로젝트는 실제로 이케아에서 반응이 좋기도 하고, 많은 것들을 경험해보았기 때문에 내 학교생활 중 가장 기억나는 프로젝트이다.
물론 처음부터 끝까지 우리가 디자인하고 발로 뛰어가며 사용자들을 참여시키고 설문조사를 진행하며 조사를 했기 때문에 무척이나 힘든 프로젝트이기도 하였다. 디자인방법론 수업 시간에는 이론수업도 병행하기 때문에 교수님께서 디자인에 관련된 많은 이야기들을 해주셨는데 나는 그중에서 ‘디자이너가 헛소리를 해야 한다.’는 말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내가 많은 디자인을 해본 것은 아니지만 디자인을 해오면서 ‘아, 이게 될 수 있을까’지레 겁먹고 포기한 적도 많다. 하지만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정말 무궁무진한 팀원들의 아이디어들도 들어보고 포기하지 않고 실제로 이룰 수 있게 많은 조사도 해보고 하였다. ‘실패하면 뭐 어떤가?’하는 생각이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가장 많이 들었다. 실패하면 또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고 실현시키기 위해 노력하면 된다. 실제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도출한 연구 문제는 한번에 정해진 것이 아닌 계속 추가되고 또 추가되었다. 이번 수업을 들으면서 이러한 도전적인 정신이 디자이너에게는 계속 원동력이 되는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 디자인방법론 수업은 나에게 논리적으로 디자인에 다가가는 방법을 알려준 인상 깊은 수업이었다.

You May Also Like: Insights from Leading Design Thin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