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stem design is a problem solving process that relates to human society, production technology, and capitalistic economy, and requires logicality and intuitiveness. In this regard, the objective of this course was to understand and experience the holistic process of design. Students ran two different projects in this course. In the first project, students were asked to produce products utilizing sheets. Students researched on diverse types of sheets, experienced the material by conducting various experiments, and practiced the ideation process. The design subjects of the second project were the kitchen of a one-bedroom living space and a rice cooker. The main purpose of the second project was to redesign the kitchen and rice cooker for a family of 3~4 members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d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which is an emerging social phenomenon due to ‘weakening family ties’, ‘increase in number of never-married people’, and ‘job insecurity and economic depravation’.
시스템 디자인 수업 소개
시스템 디자인이란 인간사회, 생산기술, 자본경제에 관련된 문제해결 과정이며 논리성과 직관성이 함께 요구된다. 시스템디자인 수업은 이와 관련하여 디자인의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경험해보기 위한 수업이다. 이 수업은 두 가지 프로젝트로 진행되었으며 첫 번째 프로젝트는 시트를 이용한 제품 제작이었으며, 이는 다양한 시트를 찾아보고 여러 방법으로 실험해 보는 재료의 경험과 아이디어 구상을 연습할 수 있었다. 두 번째 프로젝트는 원룸에서의 부엌 디자인과 밥솥 디자인이었다. 이 프로젝트는 ‘가족 가치의 약화’, ‘개인주의의 심화’, ‘비혼자 증가’, ‘고용불안 및 경제여건 악화’와 같은 이유로 1인 가구가 증가하는 트렌드에 맞게 3~4인 가구를 위한 부엌과 밥솥을 리디자인을 하는 것이다. 두 프로젝트는 서로 성격이 달랐으며. 두 번째 프로젝트가 프로세스 이해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이를 중점으로 말하고자 한다.
수업과정
17명이 한 팀이 되어 진행 된 두 번째 프로젝트는 크게는 세 부분, 분석-개념화-디자인의 3단계로, 작게는 기술 분석, 시장 분석, 사용자 분석, 사용 환경 분석, 필요목록 작성, 개인목록 작성, 공통 요구사항 작성, 개인 요구사항 작성, 개념디자인, 목업의 10단계로 볼 수 있다.
1. 분석
기술 분석은 대상에 적용된 기술을 조사, 해석하는 단계로 부엌을 준비대, 개수대, 조리대, 가열대로 나누어 사용하는 도구를 분석하고 필요한 도구와 있으면 편리한 도구를 구분하였다. 다음으로 시장조사는 대상에 대해 국내외를 리서치하는 단계로 국내, 해외의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부엌 및 관련 브랜드를 조사하였다. 그 뒤에 경험한 사용자 분석은 대상에 관한 사용자들의 경험, 식습관 등을 조사하는 단계로 부엌과 관련하여 평소 음식을 해먹지 않는 사람, 가끔 요리하는 사람, 평소 요리를 해먹는 사람으로 구분하고 음식을 해먹지 않을 때는 배달을 시키거나 인스턴트를 먹는 것으로 구분하여 세분화 시켰다. 또한 요리를 한다면 어떤 요리를 많이 하며 어떤 과정으로 진행이 되는지를 조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 환경 분석은 대상을 사용하는 환경에 대한 분석 단계로 밥솥을 어디에 놓고 사용하는지, 냉장고를 몇 L를 사용하는지, 식기는 몇 개를 사용하고, 서랍에는 무엇이 몇 L가 들어있는지 등 환경에 포함된 주변물이 차지하는 부피와 그것의 위치를 분석하였는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사용자 분석과 사용 환경 분석을 함께 해야 하는 것이다. 이는 사용자 분석을 했던 대상의 환경을 조사해야 하기 때문이다.
2. 정보개념화
개념화부터는 세가지 라이프 스타일 – 음식을 해먹지 않는 사람, 가끔 요리하는 사람, 요리를 자주 해먹는 사람 – 로 구분하여 과정을 진행하였다. 필요목록 작성에서 필요한 냉장고 내부 부피와 서랍부피, 가열기구의 면적과 종류, 조명의 밝기, 밥솥의 사용여부 등을 파악한 후 각각의 개인목록을 작성하였다. 개인 목록에는 자신의 식습관과 관련된 라이프 스타일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와 사용자분석을 통해 파악한 기존의 스타일과 자신과의 차이점을, 그리고 만들고자하는 부엌의 느낌을 이미지 맵으로 나타내었다.
3. 요구목록 작성
가장 어려웠던 부분이 요구목록 작성이었다고 생각한다. 요구목록 작성은 처음이라 요구사항과 희망사항의 구분이 문제가 되었고, 다음으로 공통 요구목록을 작성할 때 부피와 면적, 높이, 배치의 공통점을찾는 부분도 쉽지 않았다. 이것을 작성할 때는 17명이 다 모여서 의견을 나누고 모르는 부분은 교수님께 전화를 하면서 진행하였다. 개인 요구목록을 작성하면서는 공통 요구목록에 있는 사항을 다시 적어 문제가 되었고, 구체적인 방법과 해결안을 작성하는 것이 아닌 개념을 작성하는 부분이 어려웠다.
예를 들어 밥을 먹으면서 노트북을 사용하는 사람의 경우 “노트북 자리를 슬라이드를 이용하여 드르륵 꺼낼 수 있도록 한다. 노트북의 어댑터를 놓을 공간과 코드를 꽂을 곳이 필요함”이라 작성했지만 이것은 잘못된 것으로 “노트북 사용과 함께 하는 간단 식사 공간 고려(노트북 전원 공급 필요)”와 같이 고쳐야 했다. 이것은 구체적인 방법과 해결안을 적게 되면 다양한 해결 방법이 떠오르지 않기 때문이다.
4. 개념 디자인 & Mock-up
요구목록을 작성한 다음은 개념스케치 단계로 대상을 단순화 시켜 접근하는 것이다. 부엌의 경우, 부엌을 평면으로 단순화 시키고, 배치와 형태를 다양하게 시도해 보았으며, 이 단계에서는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것이 좋은데 이는 서로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자신이 생각하지 못했던 것을 상대방을 통해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개념스케치를 한 다음 스xl로폼과 같은 가벼운 재료로 해당부분의 축소한 부피를 만들어 배치를 바꿔보는 등의 시도를 하였는데 앞에서의 개념 스케치에서 느껴지지 않았던 3차원에서의 모습을 통해 놓쳤던 부분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서 실제 목업을 하였는데 전자레인지와 개수대의 모형제작 방법을 배울 수 있었으며, 손잡이 위치 및 종류와 서랍의 틈새가 만들어 내는 선, 그 밖의 다양한 흰 색을 생각해 보게 되었다.
의의
산업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전반적인 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해 간접적인 경험을 할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프로세스 단계 중 자신의 장점이 되는 부분을 탐색할 수 있었으며, 공동 작업을 통해 서로의 장점을 발견하고 단점을 보완할 수 있었다. 그런 과정 중에서 의사소통 능력도 향상되었으며 교내 전시를 통해 주변 사물과의 어울림과 같은 공간적인 감각도 키울 수 있었다. 조금 아쉬웠던 점은 시간과 실력이 모자라 내부까지 제작해 보지 못한 것이다.
본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디자인 프로세스 간접 체험’, ‘학생 개인의 특성 파악’, ‘공동작업을 통한 의사소통 능력과 전시를 통한 공간구성 능력의 향상’등으로 학생 개인의 능력 배양과 진로 탐색에 도움을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