숟가락부터 우주선까지

Nov 25, 2017 | People Inside

배소예 Bae, Soye & 이유진 Lee, Eugene

배소예 Bae, Soye & 이유진 Lee, Eugene

연세대학교 디자인예술학부

From Spoons to Spaceships

After establishing my own definition of what Industrial Design is, I always think. Most people who ever study Industrial Design will answer to the question “What is Industrial Design?” in relation to their current occupation. For example, a motor vehicle designer and a mobile phone designer will define Industrial Design as designing cars and designing phones, respectively. However, if anyone would ask me what Industrial Design is, Industrial Design is the designing of products from spoons to spaceships, and every other kind of things in between that people utilize.


김휘진 디자이너는 시각, 산업, UX/UI 디자인 등 다양한 디자인 분야를 넘나드는 디자이너다. 이번 호의 주제인 ‘디자인 그 너머에’라는 주제는 디자인이 이루어지는 과정과 더불어 디자인의 공간적, 미래적 요소 등 많은 것을 포함하는 주제라고 판단했기에 한 가지 시각으로 이를 바라보기엔 어렵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이는 산업디자인이라는 정해진 분야만을 바라보고 달려가는 우리에게도 어려운 질문일 수 있다. 여러 분야의 디자인을 넘나드는 김휘진 디자이너의 시각은 이런 우리의 질문의 해답이 될 수 있지 않을까?

간단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주)비주얼랩 대표 김휘진, 죠슈와 킴입니다. 로드아일랜드 스쿨 오브 디자인RISD에서 산업디자인을 전공했고 다방면의 디자인 실무 경험이 있습니다. 현재 두 가지 일을 하고 있습니다. ‘비주얼랩’ 이라는 토탈 디자인 에이전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CNT DREAM이라는 화장품 제조회사에서 여러 브랜드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는 브랜딩, 회사 이미지 BI/CI, 제품 디자인, 마케팅 이미지 및 소비자에게 가장 경쟁력 있는 제품을 뽑아내는 직책입니다.

운영하는 회사의 아이덴티티는 무엇인가?
‘Creative’라는 단어에 자신있습니다. 아주 러프한 아이디어 하나로 시장조사와 구체적인 아이디에이션ideation을 통한 시장을 압도하는 제품화 과정에 많은 고객들이 매력을 느낍니다.

‘비디비치’ 파운데이션 및 립스틱 화장품이 인상깊었다. 디자인 할 때 어느 연령대의 소비자를 타겟팅하고 그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무엇을 가장 고려했나?
비디비치는 백화점 브랜드이다 보니 글로벌 브랜드와 경쟁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제품, 패키지, 마케팅과 품질 등 모든 요소를 경쟁사들과 비교하여 소비자를 타겟팅합니다. 소비층의 연령대를 잡는 경우 코어타겟과 서브타겟을 나눕니다. 비디비치 제품의 소비 연령대는 20대 중후반에서 30대를 타겟층으로 하였습니다. 소비자의 만족감을 위해서는 여러가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그 중 제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소비자 중심 시장조사입니다. 정확한 소비 연령층을 정하고 이미지화 한 후 그들의 전반적인 일상을 연구합니다. 무엇을 먹고, 무엇을 좋아하고, 어떤 브랜드를 좋아하고, 그들의 고민이 무엇인지 등 다양한 요소를 분석하면 전략적인 디자인이 가능합니다. 이런 과정을 통해 만족감이 높은 제품과 그에 맞는 가격 그리고 상품이 가장 잘 팔릴 수 있는 시장 등에 대한 정보 또한 알 수 있습니다.

이번 호의 ‘디자인 그 너머에’라는 주제를 보고 어떤 생각을 했나?
여러가지 생각을 했습니다. 디자인 공부할 때 저의 걱정과 고민을 생각해봤습니다. 가장 처음 떠오른 생각은 디자인을 공부하고 전공하지만 이것을 상업적으로 어떻게 풀어야 하며, 자신의 장점을 살려 어떤 포지션에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주제가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RISD에서 산업디자인을 전공한 걸로 알고 있다. 그러나 공부했던 분야와 성향이 다른 다양한 디자인 분야를 시도했다. 어떤 동기가 있나?
배웠던 개념과 실제 활동 했던 분야의 성향이 많이 다르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한국과 타국가의 산업디자인을 포함한 디자인 교육 과정이 어떻게 구성되는지 잘 모르지만 RISD의 교육과정은 좀 다릅니다. 2학년때부터 산업디자인에서 요구하는 스케치, 목업 그리고 모델링과 같은 기본적인 것에 대한 기초를 단단히 합니다. 그 과정에서 기술을 익히기만 하지 않고 디자인을 위한 리서치, 분석법, 프레젠테이션 방법 등 다양한 공부를 합니다. 그 후 졸업까지 자신의 프로젝트를 계획해서 시장분석을 통한 문제점 개선과 이를 통해 창출할 수 있는 제품 제작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스스로 리서치부터 렌더링, 모델링 모두 자신이 계획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하니 여러 가지 분야에 대해 공부하게 되면 이는 사회에서 다방면으로 적용이 가능합니다.

디자이너가 되기 위해 한 우물만 파야 한다는 생각을 갖는 경우도 많은데 이런 생각이 디자인 과정과 결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설명이 가능한가?
긍정과 부정에 대한 판단은 개인의 향후 경력과 삶을 생각해야 하는 요소라 제가 판단할 순 없습니다. 저의 개인적인 생각을 쉽게 말하면 한 우물만 파는 사람은 ‘Specialist Designer’ 즉, 한 분야의 전문 디자이너이고 다방면으로 파고드는 사람은 ‘Directive Designer’라고 하여 여러 분야를 디렉팅하는 디자이너라고 생각합니다. 덧붙여 다방면의 지식을 얕고 넓게 갖는 디자이너가 아닌 깊고 넓게 갖는 디자이너가 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다양한 분야의 디자인을 어떻게 하게 됐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항상 했던 생각이 있나?
우선 저만의 산업디자인에 대한 정의를 내리고 항상 생각합니다. 대부분 산업 디자인을 전공하신 분들은 산업 디자인이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 자신이 현재하고 있는 일과 관련해 답할 것입니다. 예를 들면 자동차 디자인을 하는 사람과 핸드폰디자인을 하는 사람은 각각 산업디자인을 자동차디자인과 핸드폰디자인으로 정의 내릴 것입니다. 하지만 저에게 산업디자인은 숟가락부터 우주선까지 그리고 그 사이 사람이 이용하는 모든 제품 디자인입니다.

디자이너로서 어떤 삶을 살고 계신지, 여가시간은 어떻게 보내나?
여가시간엔 전시회를 다니는 등 다방면의 디자인을 보러 다닙니다. 디자인을 보러 다니면서 항상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메모를 합니다. 글 몇 개를 무시하면 안됩니다. 그것들을 구체화시키면 대단한 일들이 생길 수 있습니다. 자동차디자인에서 모티브를 얻어서 화장품패키지에 적용하여 혁신적인 새로운 디자인의 화장품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디자인을 한다고 해서 꼭 그 디자인에 관한 것들만 볼 필요는 없습니다.

앞으로 도전하고 싶은 분야와 이유가 있나?
마케팅입니다. 훌륭한 디자이너는 마케팅을 알아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세상에 훌륭하게 디자인 된 제품은 많습니다. 단, 디자인만 훌륭한 경우도 많습니다. 진정한 베스트 디자인은 잘 팔리는 디자인이라는 말도 있습니다. 베스트 디자인은 디자이너의 디자인 능력과 마케팅에 대한 감각이 손발이 잘 맞았을 때 완성이라고 생각합니다.

Interviewee
김휘진 Kim, Hweegene
12-15년 뷰티 비디비치 리브랜딩 디자이너
15년 (주)임베터 디자인 에이전시 설립 공동 대표
16년 (주)비주얼랩 대표
17년 뷰티브랜드 러블럽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Interviewer
배소예 Bae, Soye
이유진 Lee, Eugene
연세대학교 디자인예술학부

You May Also Like: Insights from Leading Design Thin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