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ese Wedding Jewelry Design
I now consider more about the purpose of a designer. I came to a conclusion that the main agents of creating design should move from designers to the public. This is because the roles of designers and the users can reach an agreement through such method. Without the need for the designers trying to precisely understand the users’ need, design could be established from the user side. As Ezio Manzini said in his book 「Design, When Everybody Designs (An Introduction to Design for Social Innovation)」, a professional designer’s role will remain to be the catalyst for a wider discussion about design by providing a platform. A professional designer will not give detailed instructions and directions.
주얼리는 몸에 착용하는 미니어처 조각 장식이며 주얼리를 통해 나라의 문화적 분위기를 볼 수 있다. 여러 가지 이유로 사람들이 자신의 사회적 지위, 문화적 특성, 종교적 신념을 보여주기 위해 주얼리를착용하기 때문에 자신의 개성이 표현된다. 문화, 관습과 시대의 변화와 함께 주얼리의 용도 및 스타일의 차이가 생겨난다. 국가나 지역의 문화적 의미를 주얼리가 반영하기도 하고, 주얼리의 의미가 국가나 지역의 문화를 변화시키기도 한다. 이와 같은 주얼리의 의미는 국가나 지역의 관습, 문화와 패션 트렌드, 경제 발전의 수준까지 범위가 확장되었다.
세계적으로 많은 나라가 주얼리를 약혼 예물로 쓰는 것을 볼 수 있으며 결혼식은 주얼리가 널리 쓰이는 상황 중 하나이다. 예로부터 세계 여러 나라와 지역에서 혼인을 중시해왔다. 중국에서는 일반적으로 ‘혼婚경慶’1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폭넓은 결혼과 관련된 사항들을 통칭한다. ‘혼경’ 주얼리 문화 중에서 주얼리는 소비, 장식의 기능뿐만 아니라 감정과 문화의 기능을 갖고 있다.2 주얼리를 착용하는 것은 미학적 측면 뿐 아니라 심리적 측면에서 볼 때 액세서리의 실물가치를 제외한 특정한 추상적, 심리적인 가치가 생기는 것을 알 수 있다.
역사를 통해 민족들 사이의 큰 문화적 차이를 찾을 수 있지만 인접 지역에 있는 두 나라의 문화적 유사점도 찾을 수 있다. 중국과 한국은 지리적으로 가깝고 역사적으로 빈번한 접촉을 통해 상호 의존적 관계를 지속해왔다. 중국의 개혁개방3이후 양국 간 정치, 경제, 문화 등의 측면에서 더 활발한 교류를 하고 있다. 한국의 문화 전략이 수립된 이후 이웃 나라에 한국 문화를 수출해왔다. 특히 한류는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의 의류 및 영화, TV 드라마 등 넓은 범위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동시에 중국은 한국으로 중국어 및 음식 등과 같은 민족 문화를 수출하고 있다. 현대 주얼리 산업에서 한국은 한국만의 독특한 스타일을 개발했기 때문에 주얼리 분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되었다. 중국 주얼리 산업은 아직 초기 단계이며 큰 잠재력이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결혼식에 사용되는 각종 주얼리를 바탕으로 주얼리 시장이 성장했기 때문에 해당 시장의 잠재력이 크다고 판단하였다. 특히 현재 ‘바링허우80后’, ‘주링허우 90后’, ‘바링 허우80后’, ‘주링 허우90后’4등 젊은 층의 성장에 따라 보석 수요가 증가했다. “2008년부터 중국에서는 혼인신고자 수가 매년 2000만 명이 넘고 이는 10년 전에 비하여 급속적, 안정적인 성장 양상을 유지하고 있다. 결혼 비용 지출액은 약 2500억 RMB5이며 그중에서 ‘혼婚경慶’ 주얼리에 대한 소비는 300~500억 RMB 이다”.6 중국 인구 구조상, 80년대 중반에 태어난 아기가 향후 10년간 결혼 적령기에 포함되고 소비와 구매력이 급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인구 구조 때문에 앞으로 귀금속 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그렇지만, 중국 주얼리 분야에서 여러 방면으로 부족한 점이 많다. 단일화 및 표절 경우가 많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DATA SOURCE : 전국상업정보중심 중상산업연구원)
전통 문양은 현대 주얼리 디자인에서 사용되고 특히 혼경 주얼리를 자주 이용하고 있다. 중국 고대 금·은 주얼리는 주로 당나라와 당나라 이후의 말기 고분에 등장하였다. 송·원 시기는 중국 길상 문양의 개화기이며, 명·청 시대 때는 길상 문양이 발전하고 격식화된 시기였다.7 ‘길상吉祥’,말 그대로 ‘吉利(길하다)’ 및 ‘祥和(상서롭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행운의 징조이다. 다시 말해, 일이 의도한 대로 이루어지고 행운을 가져옴을 뜻한다. 예로부터 지금까지 길상을 추구하지 않는 사람은 없다. 길상 의식은 이미 생활의 모든 면에 스며들어있다. 이에 따라 중국의 전통 길상 문양은 길조가 전달되는 중요한 매체로 작용하고 있다.
중국의 전통 문양은 종류가 다양하고 광범위한 곳에 적용된다. 따라서 분류 방식도 다양한데, 흔히 볼 수 있는 분류 방식은 문양의 응용 분야에 따라 분류된다. 즉, 도자기 문양, 건축 문양, 옥기 문양, 금은기金银器 문양, 자수刺绣 문양 등이다. 또 다른 분류 방식은 제재에 따라 분류된다. 즉, 추상 기하학 문양, 식물 문양, 동물 문양, 캐릭터 문양 등이 있다. 또 표현 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단일 문양, 글자 문양, 해음谐音문양, 조합 문양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송, 원, 명, 청나라 때 황금 장신구의 몇 가지 대표 문양을 설명하기 위해 필자는 문양을 네 종류로 나눈다, 즉 식물 문양, 동물 문양, 인물 및 종교 문양, 그리고 다양한 원소의 조합 문양이다.
이 네 가지 시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식물 문양은 연꽃 문양이다. 연꽃 문양은 불상의 대좌 무늬가 변형되어 생긴 것인데, 순결하고 단란하게 지낸다는 의미를 상징한다. 남녀가 모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광범위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들 4개 시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동물 문양은 용 문양과 봉황 문양이다. 용 문양과 봉황 문양은 중화 민족에게는 중대한 의미가 있으며 용 문양과 봉황 문양을 알려면 먼저 용과 봉황을 이해해야 한다: 용은 중화 민족의 상징이며 용 문양의 형성에 관해서 다양한 의견이 있는데, 그중 두 가지 관점의 의견은 다음과 같다: 황제黄帝는 염제炎帝와 치우蚩尤를 이겨 낸 후에 각 부락의 토템 요소를 가지고 ‘사슴의 뿔,낙타의 머리, 토끼의 눈, 뱀의 목, 무명조개의 배, 어린 비늘, 매의 발, 호랑이의 발바닥,소의 귀’8가 있는 새로운 동물 형상을 만들었는데 이것이 용이다. 또 다른 의견은 용은 상고上古시대에 확실히 존재했던 동물이며 신격화된 이후 초기에는 토템 숭배의 대상이었지만 점차 왕의 상징으로 바뀌었다. 위에서 설명한 두 가지 견해 모두 공통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은 용이 중화 민족의 상징이고, 중국인에게 중요한 의의가 있다는 것이다. 용은 진나라秦朝때부터 제왕의 상징이 되었다. 그 후 점점 남성을 지칭하는 문양으로 발전해왔는데, 특히 지위가 높고 귀한 남성을 상징한다. 봉황은 원래 봉凤과 황凰의 두 음절로 이루어져 있다. 봉凤은 수컷이며 황凰은 암컷이다. 봉황의 기원은 용과 비슷하고, 토템 숭배에서 발전해왔다. 외형적으로도 몇 가지 특징이 있는데 이것은: ‘닭의 머리, 제비의 아래턱, 뱀의 목, 거북이의 등, 물고기의 꼬리, 오채색, 육척장신六尺长身’이다.9 이후에 점점 여성을 뜻하는 문양으로 발전해왔다. 용 문양과 봉황 문양은 고대에는 귀족 남녀들이 주로 사용하였다. 금 장신구를 이용하는 것뿐 만 아니라 일상생활 중 다양한 분야에서 모두 응용이 가능하다.

현대 브랜드의 전통 문양 선택을 보면 연꽃과 나비 문양에 집중된다. 실제로 혼경 황금 주얼리를 착용하는 사람은 여성 위주지만 이런 연꽃과 나비 문양은 여러 사람들이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남녀노소 구분 없이 활용도가 높고 나이별 한계에 대한 것도 명확하지 않다. 길상의 의미에서 보면 대부분 부부가 화목하고 행복하고 원만하다는 의미이다. 또 다른 이유는 디자인이 편리하다. 즉 쉽게 디자인할 수 있으며 생산 시간을 줄이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 혼婚경慶: 명사/동사. 다양한 결혼의 형식 또는 다양한 결혼식의 조합을 의미한다. 특히 결혼식 계획을 의미한다. ↩︎
- 王晓菡,<中国婚庆文化之首饰研究>, (中国地质大学北京,硕士学位论文, 2009), p10 ↩︎
- 개혁改革개방开放:중국 1978년 12월부터 실행한 사회주의 시장 경제 정책. ↩︎
- ‘바링 허우80后’, ‘주링 허우90后’ : 명사. 1980년 이후 출생한 중국의 외동아들, 딸들을 지칭하는 말로 소황제小皇帝라 불리우며 모든 가족의 관심 아래 부러울 것 없이 자란 세대. 1990년 이후에 태어난 ‘소황제 小皇帝 2기’에 해당한다. ‘80后’가 10대나 20대에 풍족함을 느낀 세대라면 ‘90后’는 유아기부터 풍족함을 접한 세대이다. ↩︎
- RMB는 중국돈의 기호다. 중국돈의 단위는 ‘위안元’이다.(Source: NAVER중국어 사전, 2016.12) ↩︎
- 中国产业信息,《2015年中国珠宝首饰市场发展现状分析【图 》, 2015年11月27日15:25 ↩︎
- 扬之水,《奢华之色——宋元明金银器研究 卷一:宋元金银首饰》, p7 ↩︎
- “角似鹿、头似驼、眼似兔、项似蛇、腹似蜃、鳞似鱼、爪似鹰、掌似虎、耳似牛”,百度百科,龙词条。 ↩︎
- “鸡头、燕颔、蛇颈、龟背、鱼尾、五彩色,高六尺许”, 百度百科,凤凰词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