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기기와 디자인

Nov 29, 2021 | Design Message

김지해_Kim, Agnes Jihae

김지해_Kim, Agnes Jihae

국립재활원 자립생활지원기술연구팀 연구원

Assistive Devices and Design

I am Kim Jihae, a design researcher. I am a person who studies the interaction between people and artifacts such as products, services, and spaces that surround them and derives guidance related to design. In the scope of my design research, the people I observe are mainly the elderly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I often look back and think about how I came to be involved in this kind of research. Recently, I’ve been thinking along the lines of, “I research design because I am a person who values the influence and impact of tools and technologies as people interact with them.” I believe that the use of tools and technologies that assist or replace the physical and cognitive abilities of the elderly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will enable them to independently engage in everyday activities and further promote social participation. Of course, depending on the individual situation, the degree to which someone else’s help and the degree to which technology helps will be different. I am a person who believes that design majors are essential in the field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uch assistive devices. Today, I would like to introduce an ‘Assistive Device Open Platform’ that I believe would be good for design majors to use together, that they must use together, and that they can use together.


디자인 연구자 김지해입니다. 사람과 사람을 둘러싸고 있는 제품, 서비스, 공간 등 인공물과의 상호작용을 살펴보고 디자인 가이드를 도출하는 연구를 하는 사람입니다. 저의 디자인 연구 범위에서 사람은 주로 노인이나 장애인이 대상입니다.

디자인 연구 범위

저는 종종 제가 어쩌다 이런 연구를 하는 사람이 되었을까 돌이켜봅니다. 최근에 정리된 생각은 ’나는 도구와 기술이 사람과 상호작용하며 발생하는 영향, 임팩트를 중요시 여기는 사람이라서 디자인 연구를 하고 있는 것 같다’ 정도입니다. 저는 노인이나 장애인이 그들의 신체적, 인지적 능력을 보조, 대체해주는 도구,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자립적인 일상생활 활동을 하고, 나아가 사회적 참여를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른 누군가의 도움을 받는 정도와 기술의 도움을 받는 정도가 상이할 것 입니다. 저는 이러한 보조기기의 연구개발 분야에 디자인을 전공한 사람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한 사람입니다. 오늘은 디자인 전공자가 함께하면 좋은, 함께 해야한다고 생각하는, 함께할 수 있는, ‘보조기기 열린플랫폼’을 소개하겠습니다.

오픈소스 하드웨어란 각종 하드웨어 제작에 필요한 회로도 및 관련 설명서 등을 공개하여 누구나 이와 동일하거나 혹은 이를 활용한 제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하드웨어를 의미합니다. 부품을 직접 구매해 조립하기 때문에 완성형 또는 표준형 제품에 비해 가격도 저렴하며, 형태 변경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커넥티드 기기를 탄생시키거나 용도에 맞춰 직접 프로그래밍이 가능합니다 (유재필, 2013). 3D 프린터와 같은 개인 차원의 제작 도구는 저렴한 가격으로 맞춤화된 제품을 빠르게 개발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징들은 보조기기 개발에 특히 유용합니다 (Buehler, Erin. et al, 2015). 해외에서는 표준화된 제품이나 서비스를 주로 제공하는 기존 보조기기 시스템의 경우 가격이 비싸거나 개인의 필요에 적응하기 쉽지 않아서 일부 영역을 포함하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하고, 사람들이 사용, 비용 또는 미적 측면에서 자신의 요구에 맞지 않는 보조기기 솔루션을 사용하는 것1을 해결하고자 보조기기 오픈소스 공유 플랫폼(캐나다의 Makers Making Change2, 유럽의 Careables.org.3)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오픈소스 하드웨어 플랫폼은 창조적 제품은 다양한 아이디어가 합쳐질 때 탄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제 하에 소비자들의 손에 의해 각각의 상황과 요구에 맞는 다양한 제품 생산이 가능하게 해 시장 전체의 혁신을 촉진합니다. 이러한 맥락으로 국립재활원에서 ‘보조기기 열린플랫폼’을 구축, 운영하고 있습니다.

보조기기 열린플랫폼의 시범 운영 홈페이지

‘보조기기 열린플랫폼’은 적정기술 보조기기 연구개발을 위한 플랫폼이며, 이를 위해 첫째, 노인, 장애인의 보조기기 연구개발 수요를 대응하여 보조기기 공동 개발하고, 둘째, 현장실증을 통해 보조기기를 개선하여, 셋째, 개발된 보조기기 오픈소스를 보조기기 열린페이지에 공유합니다. 공유된 보조기기 오픈소스는 전국의 메이커스페이스, 보조기기센터 등을 통해 제작되고, 변형되어 노인, 장애인에게 전달됩니다. 올해 말 구축이 완료되는 ‘보조기기 열린페이지’에서는 노인, 장애인과 같은 보조기기가 필요한 사람들이 게시한 보조기기 연구개발 수요가 공유됩니다. 이렇게 공유된 수요를 보조기기 연구개발이 가능한 개인, 기관에서 대응하고, 보조기기 오픈소스나 정보를 업로드 할 수 있습니다. 보조기기 열린플랫폼의 보조기기 연구개발에는 보조기기 사용자의 니즈를 파악하고 문제해결방법을 도출할 수 있는 디자인 전공자의 많은 참여가 필요합니다.

디자인 전공자들이 보조기기 열린플랫폼에서 활동한다면 무엇을 얻어갈 수 있을까요? 첫째, 보조기기 열린플랫폼에서 보조기기 수요자와 연결될 수 있고 실제 수요를 반영한 보조기기를 개발하고 현실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둘째, 보조기기 열린플랫폼에서 여러 수요자 및 개발자, 제작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연구개발에 대한 피드백을 얻을 수 있습니다. 셋째, 보조기기 열린페이지에 업로드하는 보조기기 연구개발 과정과 결과물을 포트폴리오, 활동 인증서로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고자 합니다. 현재는 보조기기 오픈소스를 공개하는 시범 운영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으며(http://at-rd.kr), 추후 국립재활원 홈페이지(http://www.nrc.go.kr)에서 본 ‘보조기기 열린페이지’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보조기기 열린플랫폼에 대한 설명은 2021년 11월 3일~12일에 진행하는 2021년 정부혁신박람회 홈페이지에서도 자세히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innoexpo.kr/main/index.do, 안전한 한국 섹션의 ‘모두가 주인공이 되는 보조기기 열린플랫폼’).


  1. 한국에서의 보조기기 통계를 살펴보아도, 현재 사용하는 보조기기에 대한 불만족 이유는 자신에게 필요한 보조기기가 없어서(21.4%), 보조기기 기능 및 성능이 미흡해서(32.1%), 구입시 본인 부담 비용이 높아(30.4%) 등으로 나타납니다 (김정희 외, 2019). 또한, 필요한 보조기기가 없는 이유에 대해서는 사용하기가 불편할 것 같아서(14%), 구입비용이 비싸서(57.4%), 구입처를 잘 몰라서(10.7%), 기타(17.9%)로 나타났습니다 (윤종욱 외, 2017). ↩︎
  2. https://www.makersmakingchange.com/ ↩︎
  3. https://www.careables.org/  ↩︎

You May Also Like: Insights from Leading Design Thin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