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젊은이를 위한 식탁 디자인의 주요소

Dec 12, 2019 | ID Column, Know-理知

왕약동_Wang, Ruotong

왕약동_Wang, Ruotong

일반대학원 산업디자인 석사

Main criteria of the dining table design for young people in China

In contemporary China, a dining table reveals the atmosphere of the house the most in daily life. The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during meals allows them to express their inner feelings to others. Hence, dining table design is not only to satisfy the basic function of the table, but also to consider the aesthetic and symbolic function of the dining atmosphere and emotions. Yet, in modern Chinese society, the emotional aspect is often overlooked; besides, emotional communication between family members is diminishing due to the rapid westernization. Therefore, this paper will establish the main criteria; to practice the aesthetic and symbolic design of the dining table that will help the young generation in modern-day China experience the warmth of the home sentiment.


1. 서론

현대 중국의 일상에서 집안 분위기를 잘 드러내는 것은 식탁이라 할 수 있다. 식사할 때 사람들 간의 교류는 사람들에게 내면의 감정을 더 잘 표현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식탁 디자인을 위해서는 기본 기능을 충족시키는 것들뿐만 아니라, 식사 분위기와 감정에 관한 미적이고 상징적인 기능 또한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현대 중국 사회에서 제품의 기능성을 지나치게 추구하면서 점점 더 제품의 감정적인 부분이 간과되고, 게다가 생활의 빠른 서구화에 따라 가족 간의 감정 소통도 점점 줄어드는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현대 중국 젊은이들에게 가정 분위기와 정감 등의 포근함을 느끼게 할 수 있는 식탁의 미적, 상징적 디자인을 실천하기 위해, 그 주요 개념을 우선 정립하고자 한다.

2. 중국 개혁개방(1978) 이후 주택과 식탁의 변화

문헌과 사례 등을 통해 시대별 경제생활의 변화, 가정 구조의 변화, 식생활과 식탁의 변화를 조사 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시기별 가정 분위기 변화에 따라 식탁과 사용자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그중 감정에 관계된 변인(變因) 및 불변요소(不變要素)를 도출한다. 1980년대 가족 구성은 4~5명 위주를 이루었으나 주택 공간은 충분치 않았기에, 대부분 가정에서는 접이식 원형 식탁을 사용했다. 1990년대 개혁개방의 성과로 시장 소비품이 풍부해지고 기본 기능에 따라 독립 공간을 갖춘 주택이 보편화 되었다. 또한 중외 합작 기업이 늘어나면서 가구 산업도 번성하고 상판이 유리로 된 식탁 소비도 늘어났다. 이 시기에 계획생육정책(計劃生育政策)의 실행으로 인해 식탁은 일반적으로 크지 않다. 2000년에 접어들면서 많은 사람들이 부모를 모시고 자녀와 함께 생활할 수 있는 큰 집을 구하고, 가족 수에 따라 6인용 이상의 식탁을 사용했다. 그와 함께 가구시장에서는 신(新)중국 풍이라는 말이 대두되었다. 2010년대에는 가족 구성이 달라지고 1인 가구도 늘어났다. 소형 아파트 유행이 시작되고, 도시의 바쁜 생활 속에서 간편식과 함께 간단한 식탁의 선호가 늘어났다. 그 결과, 가구 디자인은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와 개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기존의 단일 양식에서 신 중국풍, 유럽식 등 다양한 양식에서 맞춤 제작까지 다양화되었다. 이처럼 과거와 달리 변화된 식탁의 ‘현존’이 드러내는 감정적 가치는 공간을 통해 식탁의 변화된 시대적 감정을 표출하고 있다. 따라서 변인은 식탁의 재질, 크기, 스타일이다. 이것들 사회의 다방면 변화 때문이다. 불변인 식탁이 집에 고유한 위치이다. 가정 상징으로서 사회가 아무리 변화해도 식탁은 제 자리가 있다.

3. 젊은이들의 식생활과 식탁 선호 현황

현대 중국 젊은이들의 감정적 가치 방향을 찾고자, 설문을 통해 그들 식생활의 변화와 식탁에 대한 선호 취향을 살펴보고 사진판독 및 시장조사를 통해 비교·검토를 수행한다.

3-1. 설문 조사

조사대상은 중국 중부 지역에서 일하고 생활하는 20~30대 젊은이들 55명이다. 설문은 그 젊은이들의 식생활 현황과 식탁 선호/감정이라는 두 부분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젊은이들의 식생활 현황에 대한 표 2의 두 물음을 교차 분석한 결과, 현대 젊은이들에게는 혼자 밥 먹는 것이 익숙한 식사 방식임을 알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식탁 보유율을 조사한 결과, 식탁이 있는 비율은 81.8%에 달했다. 그리고 78%의 응답자가 앞으로 자신의 삶에 맞는 식탁을 살 것이라고 답했다. 이러한 응답에 대한 이유로서 대부분 “식탁이 없으면 이상하다”, “생활의 의식감(儀式感)”, “집안 감정을 드러내기 때문이다’라고 했다.
또한 식탁 사용 빈도에 대해서, 대부분 여전히 식탁을 많이 사용하고 있고, 가정에서 식탁의 위치를 여전히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특히 공간을 결정짓는 필수요소로서의 식탁이 갖는 기능은 식사할 때 사용하는 것만이 아니라, 하나의 주거공간의 완결성을 보장해주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끝으로 식탁에 대한 개인 선호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대부분 6인 보통 식탁을 희망했다. 이는 앞의 제2장에서 언급한 사회와 식탁의 변화에 따른 1980~90년대 핵가족에서 이러한 4~6인 보통 식탁 유행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즉, 사람들의 사물에 대한 감정과 선택은 대부분 자신의 생활환경과 성장 과정 중에 이루어지는 잠재의식을 반영한다는 것이다.

3-2. 특정 유형별 식탁에 대한 사진 판독

식탁에 대한 젊은이들의 선호와 즉흥적 감정을 알기 위해 무작위로 대상 5명을 선정하여 사진판독을 진행했다. 그것을 토대로 식탁과 선호-감정 간의 감정적 연계 요소를 분석한 결과, 주로 재질, 원형 식탁, 최근의 소형접이식 식탁 세 방향에서 주목할 점이 나타났다.

중국인의 목조식탁에 대한 애착은 오랫동안 익숙한 성장환경에서 물려받은 일종의 대입감(代入感)에서 비롯되었는데, 다시 말하자면 예전부터 대부분의 가정에서 목조식탁을 사용해왔기에 잠재의식 속에서 목조식탁에 가족의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하지만 요즘 젊은이들은 고급스러워 보이는 품질의 질감이 좋은 가구를 선호한다. 식탁의 고급스러운 질감은 재료 선정과 (후) 가공법에 좌우된다. 따라서 그들이 목조식탁을 더 많이 선택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목조(木造)에서 나오는 대입감(代入感)은 그들에게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3-3. 시장의 식탁 소비 현황 조사

중국 식탁 판매의 대표적인 두 곳 전자상거래에서 판매량 순위에 따른 50개 품목을 분석한 결과가 표 5와 같이 정리되었다. 여기서 4인 이상의 미닫이식 식탁의 판매량이 가장 많은데, 4인용 직사각형 식탁이 6인용 사각 또는 원형 식탁으로 확장되는 것들이다. 그다음으로는 6인용 일반 식탁이다. 4인 이하 접이식 식탁의 경우, 주로 좁은 공간에 거주하는 20대들이 구매한다.

4. 중국 젊은이들을 위한 식탁 디자인의 주요소

이상의 조사 분석 결과, 젊은이들이 원하는 식탁은 4~6인용이지만 좁은 주거공간 때문에 4인 이하의 소형 접이식 식탁을 사용한다. 따라서 젊은이들의 선호와 대입감을 충족시키면서도 그들의 주거공간 환경에 맞는 식탁 디자인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해야만 한다:

  • 4인 이하의 소형 접이식에서 4인 및 6인용까지 확장성
  • 대입 감과 따뜻하고 고급스러운 실내 분위기 실현을 위한
    재료와 가공법
  • 가능한 대입 감에 부합하는 원형 및 신중식
    즉, 오늘날 중국 젊은이들의 선호 취향에 부합하면서도 전통적인 중국 가족 분위기의 대입감(代入感)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이상의 요소들에 준거한 식탁 디자인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장 보드리야르, 사물의 체계(2001), 上海人民出版社;소비의 사회(2014), 南京大学出版社
• 赵吉林, (2009), 中国消费文化变迁研究, 西南财经大学 박사학위 논문, 四川成都
• 董赤, (2010), 新时期30年室内设计艺术历程研究, 东北师范大学 박사학위 논문, 吉林长春
• 周蓓, (2004), 20世纪中国家具发展历程研究, 中南林学院 석사학위 논문, 湖南长沙
• 董立清,(2012), 消费社会人的价值观的偏失与重建, 北京交通大学 박사학위 논문, 北京


论文概要:

背景:

在我们的日常生活中,餐桌是最能营造良好的家庭氛围的家具。因为吃饭时的交流能使我们更加理解相互的思想,表达内心的感情。并且,中国的传统文化中,圆桌象征着团圆,一种美好的家庭氛围。古人认为,人和家具之间存在一定的精神联系,重视其中的人文情怀,所以在对家具的设计生产的过程中,除了满足基本的使用功能外,更加重视家具对于气氛的烘托。但是,在近现代,随着西方文化的侵入与社会环境的影响下,现如今的消费者往往更加注重产品的功能性,从而忽视了产品的感情部分。
进入20世纪90年代,随着国内消费水平的提高,消费市场的扩大,传统家具开始进入到设计师的视野。但对于传统家具的在制造只是停留在了表面的一些方法与可用的途径,并没有完整的理论系统。从21世纪开始,中国的原创家具实例才逐步增多,相关的研究资料数量也在递增,中式家具无疑在当代的社会环境中有了一个良好的平台。2002年,刘文金在‘首届中国家具产业开发国际研讨会’中,初次提出了‘新中式’家具的概念:1,基于当代审美的对于中国传统家具的现代化改造;2.基于中国当代审美现状的对于具有中国特色的当代家具思考。 景南,设计原理传承视域下的中国现代家具研究[D],江南大学(2015)
在这样的理论成熟的条件下,新中式家具开始在市场中有了一席平台。

研究问题与目的:

一,就目前的国内市场的情况来看,在这样的快节奏的生活中,年轻的消费者更加偏好于西方的简约主义的家具,新中式家具的市场销售状况并不是很好。所以首先要确认消费者的对新中式家具的接纳度。其次,在这种新型的生活方式中,餐桌是否还保持着在家庭中的重要性。
二,在现在高压的社会模式下,现代大部分的年轻人把主要的生活重心放在了工作上,与家人之间的感情交流也渐渐减少。独自一人吃饭已经成为现在的一种新的社会现象。家具与人之间的情感变得薄弱。
因此,论文的最终目的是从现代的消费环境与生活状态的变化脉络中,找寻人与餐桌之间的关系,在此基础上,通过调查掌握现代年轻消费层对新中式风格可接受度,以及喜好取向,从而抓住其中不变的情感要素。设计一个能给现代人带来浓郁的家庭氛围,社会情感等,带有温馨感觉的餐桌。
主要内容:
首先是根据社会时代的变化,了解经济的变化,家庭构造的变化等历史脉络中,梳理餐桌与家庭个体的关系。论文从20世纪80年代,中国改革开放时期开始,以10年为一个阶段,到现如今的2010年间。对不同时期的消费情况,家庭构造,以及餐桌在家庭中的摆放位置与流行的样式进行文献调查的梳理。确定了餐桌在家庭空间环境的重要性。

其次,对现代年轻人的饮食生活变化进行调查,为了使调查更具有针对性,调查对象主要为,90年代出生的在中国中北部地区,并在此生活的年轻人。主要的调查方法有,问卷调查,图片判读,市场调查。运用问卷调查来广范围的了解现代年轻人的生活情况及对餐桌的看法。

主要的问题结果总结如下:

可以发现,6人用餐桌的票数最高,其次是4人用餐桌。在餐桌的类型上,大部分人还是喜好普通餐桌。
之后,通过图片判读调查方法,针对性的了解年轻人对餐桌的不同形态,材质的直观感受。在如今市场上常见的,大理石,玻璃,木头三种材质中,最让人能感觉到温暖的材质是木头。 第二阶段,年轻人对圆桌的看法的结果显示,最大的直观性感觉为,材质好,很贵。之后,在氛围方面则是:用圆桌吃饭的话,气氛会很好,因为便于交流。
通过以上,我们可以得出,虽然随着社会现代话的发展,生活的模式越来越简单,但中国人固有的情感观念是不会改变的。显示的开放性调查结果中,代入感一词被多次提到,我们所喜好的物品的本质,与我们的生活环境与文化的影响是分不开的。
最后,通过市场调查,了解现在市场的趋势,当代市场中,餐桌的新技术,新风格。抓住大众取向,与可以使用的技术,通过调查分析,不仅可以找到符合使用者的设计因素,还能掌握一些情感上的要素。

结论:

通过以上内容,对符合年轻人取向的餐桌特点进行总结,得出以下三点。
第一,根据现有家庭人员数与家庭面积等条件,大部分人所希望的餐桌规格为4-6人用餐桌。 第二,木材最能体现家庭温馨的氛围感。
第三,可用一定的变形机能。然后找到合适的制作方法,完成设计初案。
最后结合要点,设计制作一个符合现代年轻人审美取向,基于现代人家庭温暖感的餐桌。

关键词

餐桌,餐桌设计,家具设计

You May Also Like: Insights from Leading Design Thinkers

Usability for Mobility: User Interface Design Guidelines for Powered Wheelchairs

Usability for Mobility: User Interface Design Guidelines for Powered Wheelchairs

보조기기의 사용성은 사용자의 다양한 역할에서의 참여 수준을 보여준다. 수동 휠체어와 달리, 전동휠체어는 중증 장애인인 사용자가 그들의 잔존 기능을 사용하여 휠체어를 조작한다. 이 때문에 전동 휠체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복잡하고 다양하다. 하지만 전동 휠체어는 수동…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