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배웠던 ‘제품디자인실습(1)’ 수업:제품 디자인을 향한 첫걸음

Nov 29, 2021 | ID Lecture, Know-理知

이준성_Lee, Junsung

이준성_Lee, Junsung

산업디자인학 전공 20학번

‘Product Design(1)’ Class that I Learned: The First Step Towards Product Design

As we go through life, we have enduring relationships with a wide range of products. With that being the case, I would like to start this talk by asking the question, ‘What processes are these products made through?’ When I first encountered the field of industrial design, I focused on the already manufactured object itself rather than the process by which it was created. However, I found that even small products underwent a much greater process than I had thought. I took the Product Design Practice (1) class to learn about and experience the overall process of product design. I came to this class because I was interested in the study of industrial design, but personally, I felt that I lacked knowledge and experience, so my goal was to improve my abilities through this class. As a result, I was able to experience product design overall while taking the class, and I feel that I learned a great deal about each individual aspect. I decided to write this based on my experience because I thought that it may be helpful for those with similar thoughts as me if they could gain insight on how the class is conducted.


우리는 세상을 살아가다 보면 다양한 제품들과 끊임없는 관계를 맺으며 살아간다. 그렇다면 ‘이러한 제품들의 경우 어떤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 것일까?’라는 질문을 던지며 이야기를 시작해 보고자 한다. 내가 처음 산업디자인이라는 분야를 접하였을 때 과정보다는 이미 제작되어 있는 물건 자체에만 집중하였다. 그러나 작은 제품 하나에도 내가 생각하는 것보다 커다란 프로세스가 담겨 있었다. 제품 디자인이 진행되는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배우고 경험해 보고자 제품디자인실습(1) 수업을 듣게 되었다. 산업디자인 학과에 관심이 있어 오게 되었지만, 개인적으로 지식 및 경험이 부족하다고 생각이 들어 해당 수업을 통해 능력을 키워가고 싶다는 목표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수업을 들으면서 제품 디자인에 대한 전반적인 경험을 할 수 있었고 각 파트 별로 배워가는 게 많다고 생각한다. 나와 비슷한 생각을 가진 사람이 있다면 해당 수업이 어떤 식의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정보를 접하고 도움을 얻으면 좋을 것 같아 나의 경험을 토대로 글을 쓰게 되었다.

해당 수업의 경우 제품 디자인의 특성에 관한 이론을 배운 후 제품을 이해하고 창출하는 과정으로 진행되는 방식이다. 크게 나누어 본다면 제품 이해 및 창출과 디자인 사례연구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수업 초반에는 스케치 및 투시에 관한 강의 중심 기초학습을 듣게 되었다. 스케치는 생각을 표현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의의와 함께 원리, 팁, 투시 등의 내용을 배우게 된다. 스케치의 중요성을 알게 되면서 내용을 적용해 보고 발전할 수 있도록 매주 7장씩 총 100장의 스케치 과제가 주어진다. 꾸준히 스케치를 연습하다 보면 ‘정확한 + 구조적인 + 탐구하는’ 스케치 3원칙을 지키며 보다 더 정확하고 빠르게 발전해 나갈 수 있었다. 그 결과 스케치를 하나의 표현 방법으로 이용하여 나의 생각을 시각적으로 잘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제품 디자인에 대한 이론 수업이 마무리되면 선정된 4가지의 제품 별로 개인, 팀 작업을 함께 수행하는 팀별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크게 Understanding(U1,2)과 Creation(C1,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품 이해’에 대한 U1을 처음으로 시작된다. 제품을 이해하는 과정을 위해 리서치와 함께 도면 및 모형에 대해 생각하고 제작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제품 리서치의 경우 팀별로 이루어지는 활동으로 서로가 조사한 내용을 공유하여 이야기를 나누며 효율적으로 많은 양의 정보를 얻게 된다. 다음으로는 “똑같이 만든다” 키워드와 함께 제품 모형 제작에 들어간다. 각자 도면을 그리고 제품을 제작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재료를 선정하여 모형을 제작하는 방식이다. U1의 과정이 끝나면 약간의 변형을 하는 U2를 시작한다. U2에서는 지금까지의 리서치 내용을 통해 불편한 부분을 변형하는 작업을 하게 된다.

U1, U2 모형

Creation, C1에서는 리서치를 토대로 자신의 콘셉트를 선정하여 제품을 개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콘셉트를 선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니즈와 사회, 기술 등 연관이 있는 것들을 모두 조사하고 무엇이 콘셉트가 될 수 있을지, 무엇이 조사되어야 할지의 고민을 하며 제품에 대해 끊임없이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지게 된다. C1이 마무리되고 난 후 C2에서는 컨셉적으로 부족했던 점을 한 단계 더욱 발전시키거나 모형 제작에서 아쉬운 점들을 보완한다. 이후 마지막에 자신의 콘셉트와 결과물을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발표 및 평가의 시간을 가지며 프로젝트를 마무리한다.

프로젝트와 함께 진행되는 디자인 사례연구 세미나는 팀별로 사례연구를 선정하여 해당 사례에 관한 조사를 통해 지식을 심화해 나아가고 발표를 통해 의견을 공유하는 식으로 진행되었다. 우리 팀의 경우 ‘Smart Box’ 무인 보관함을 선정하여 진행해 나아갔다. 사례연구 사이트의 글을 읽고 난 후 궁금증을 이야기하고 콘셉트, 기능, 과정, 효과 등을 리서치하여 정보를 공유하면서 제품 개발에 대한 지식을 쌓을 수 있었다. 준비하는 과정뿐만이 아닌 다른 팀들의 발표를 듣거나 질문과 답변이 오고 가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다양한 사례들을 접할 수 있게 되었고 서로의 생각을 공유할 수 있었다. 기존 사례를 통하여 제품 디자인, 개발에 대해 이해하고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다.

한 학기 동안 Understanding(U1,2), Creation(C1,2)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매주 많은 양의 리서치를 하게 되었다. 리서치를 하는 과정을 겪으면서 제품 디자인에 있어 리서치의 역할이 크다는 것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초반 콘셉트를 선정할 때, 제품 자체에 대한 리서치와 더불어 사용자, 시장, 변화 등 다방면의 자료 또한 조사하였다. 리서치를 하기 위해서 궁금증을 떠올리고 하나의 질문에 계속 꼬리를 물어 나의 콘셉트가 갖춰야 할 조건에는 무엇이 있는지 생각하게 되었다. 소비자의 니즈를 분석하여 충족되지 못한 니즈들을 콘셉트로 가져가거나 경쟁자의 특징을 조사 후 차별화 전략을 생각하여 나의 콘셉트를 뒷받침할 수 있었다. 이처럼 많은 양의 리서치가 기본이 되어야 이유가 있는, 타당한 제품 디자인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리서치를 하는 과정에서 어떤 정보가 필요하고 무엇이 좋을지 나 자신에게 끊임없이 질문하며 생각하는 능력과 정보를 수집하는 능력을 키워나갈 수 있었다.

제품디자인실습(1) 수업을 들으면서 내가 느꼈던 점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고자 한다. 수업을 들으며 산업디자인 분야에서의 제품 디자인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이 생겼다. 2학년에 올라오면서 산업디자인에 대해 접하게 되었는데 내가 기존에 지니고 있던 생각들이 변화하고 좁고 적은 지식들이 한 단계 확장되는 과정을 겪게 되었다. 리서치에서부터 모형 제작까지 제품 디자인이 이루어지는 전체적인 과정에 대해 배우고 경험해 보면서 각 과정에서 중시되어야 하는 점들에 대해 알 수 있었다. 두 번째로는 자신의 의견을 표현, 전달하는 능력이 중요하다고 생각이 들었다. 수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피드백 시간, 최종 발표 등 자신의 생각을 전달해야 하는 상황들이 많이 존재한다. 수업을 들으면서 자신의 생각이 다르게 전달되어 어려움을 겪는 상황을 보았다. 이를 보면서 결과물을 잘 만들어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자신의 생각, 의도 등을 타인에게 잘 전달할 수 있는 능력 또한 협업이 요구되는 디자인 분야 내에서 갖춰야 할 중요한 역량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나의 글을 읽는 제품디자인실습(1)을 수강하게 될 여러분들은 이 부분에 대해 고려하여 자신의 생각을 명확하게 전달하는 연습을 하는 것을 추천한다.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교수님의 피드백을 받으면서 발전하고자 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면 산업디자인 분야를 시작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것들을 얻어 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해당 수업을 들으며 산업디자인 분야를 경험해보고 전반적인 과정에 대해 느껴 볼 수 있을 것이다.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세부적인 모든 사항까지는 담지 못하였지만, 수업에 대한 정보나 나의 개인적인 생각이 담긴 글을 통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You May Also Like: Insights from Leading Design Thin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