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coming a Competent Product Designer: The Design Engineering Competencies We Need Today and Tomorrow
I would like to present one of many ways to become a competent product designer. I would like to mention in advance that this direction is not an absolutely correct answer, and it is not the only possible approach. Product design is inherently multidisciplinary and requires competency in design engineering. Design engineering competency can be formed by pursuing both 1) industrial design competency for design conception activities and 2) engineering design competency for design embodiment activities.
본인은 역량 있는 제품 디자이너 (Product Designer)가 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 한 가지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방향은 반드시 행해야 할 의무적 정답이 아니며 유일한 접근도 아님을 미리 시사한다.
제품 디자인 (Product Design)은 본질적으로 다 학제간 (Multidisciplinary) 학문의 성향을 가지며, 디자인 공학 (Design Engineering) 역량을 요구한다.
디자인 공학 (Design Engineering) 역량은, 1) 디자인 구상 (Design Conception) 활동을 위한 산업 디자인 (Industrial Design) 역량과 2) 디자인 구현 (Design Embodiment) 활동을 위한 공학 설계 (Engineering Design) 역량을 모두 추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첫째로, 디자인 구상 (Design Conception) 활동을 위한 산업 디자인 (Industrial Design) 역량은, 주어진 사용 환경 (User Environment)에서 사용자 (User)와 인공물 (Artefact)간의 관계 (Relationship)를 물리적 (Physical), 기능적 (Functional), 감성적 (Emotional) 형태 (Form)로 정의 내리는 것에 초점을 맞추며, 크게 다음과 같이 네 가지 세부 역량으로 구성된다.
산업 디자인 역량 (Industrial Design Competency – IDC)
- DC 1: 근본적인 (Fundamental)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 (Process), 방법론 (Methodology), 방법 (Method), 툴 (Tool)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는 역량
- IDC 2: 시장 주도 (Market-driven), 사용자 주도 (User-driven), 미학 주도 (Aesthetic-driven), 기술 주도 (Technology-driven), 네 가지 영역을 바탕으로 타겟 제품 (Target Product)을 면밀히 분석하여 새로운 기회 또는 존재하는 문제점을 발견하는 역량
- IDC 3: 발견된 기회 또는 문제점을 실행할 수 있는 (Actionable) 아이디어 또는 해결책으로 강구할 수 있는 역량
- IDC 4: 강구된 아이디어 또는 해결책을 개념 디자인 (Concept Design) 형태로 도출하고, Soft/Hard 프로토타입 (Prototype)으로 제작할 수 있는 역량
위에서 언급한 디자인 역량을 모두 육성 (Cultivation) 한다면, 우리는 융합 인재형 디자이너로 (Convergence-Talented Designer)서 디자인 공학자 (Design Engineer)로 거듭날 수 있다. 우리는, 1) 산업 디자인 (Industrial Design) 역량을 바탕으로 한 디자인 구상 (Design Conception) 활동을 통해, 창조적/혁신적 아이디어 (Idea), 해결방안 (Solution), 개념 (Concept)을 도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 공학 설계 (Engineering Design) 역량을 바탕으로 한 디자인 구현 (Design Embodiment) 활동을 통해, 디자인 구상 (Design Conception) 활동에서 도출한 아이디어 (Idea), 해결방안 (Solution), 개념 (Concept)을 물리적 (Physical), 기능적 (Functional), 감성적 (Emotional), 기술적 (Technical) 형태의 인공물 (Artefact)로 실질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현재, 학계 (Academic)에서 세계 유수의 대학들 (예: MIT, Standford, UC Berkely, Carnegie Mellon, Imperial College London, Royal College of Arts, TU Delft)의 디자인 교육 철학 (Design Education Philosophy)을살펴보면, 교과목 커리큘럼 (Curriculum)들이 디자인 공학 (Design Engineering) 역량을 가진 융합 인재형 디자이너로 (Convergence-Talented Designer)서 디자인 공학자 (Design Engineer)를 육성하는 방향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산업 (Industrial) 현장에서도 세계 굴지의 기업들 (예: Google, Apple, Dyson)이 원하는 인재상을 살펴보면, 더 이상 디자인 구상 (Design Conception) 활동에만 능한 또는 디자인 구현 (Design Embodiment) 활동에만 능한 인재를 원하기 보다는, 디자인 구상 및 구현 활동 모두에 능한 융합형 인재를 원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융합형 인재를 통해 각 개개인의 디자인 공학자 (Design Engineer)들이 보다 심도 있는 (In-depth/Extensive) 디자인 구상 (Design Conception) 활동, 디자인 구현 (Design Embodiment) 활동은 물론이고, 디자인 구상 (Design Conception) 활동을 주 역할로 하던 기존의 디자이너 (Designer)들과 디자인 구현 (Design Embodiment) 활동을 주 역할로 하던 기존의 엔지니어 (Engineer)들과 보다 직접적/능동적 협업 (Active Collaboration)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역량 있는 제품 디자이너 (Product Designer)가 되기 위한 한 가지 방향을 제시하였다. 앞서 언급했지만, 이 방향이 반드시 행해야 할 의무적 정답이 아니며 유일한 접근도 아니지만, 현재 학계 (Academic) 및 산업 (Industrial) 현장에서 추구하는 인재상을 비춰보았을 때, 적어도 제품 디자인 (Product Design) 분야에 있어서 우리는 디자인 구상 (Design Conception) 활동에만 능한 또는 디자인 구현 (Design Embodiment) 활동에만 능한 인재가 되기 보다는 디자인 구상 및 구현 활동 모두에 능한 디자인 공학 (Design Engineering) 형 융합 인재 (Convergence-Talented)가 되어야 함을 더 이상 간과할 수는 없어 보인다.